저자유승혁 기자
발행처서울신문
발행일2025년 11월 18일
등록일25-11-19
고용노동부가 18일 발표한 ‘2025년 기업 채용동향조사’에 따르면,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응답한 396곳 가운데 52.8%가 청년 채용 기준 1순위로 전문성을 꼽았다. 소통·협력 능력(34.3%), 도전정신(26.0%), 책임감(15.4%)이 뒤를 이었다.
전문성을 평가할 때 기업이 가장 중시한 항목은 전공(22.3%)이었다. 이어 인턴 경험(19.1%), 직무 관련 훈련(17.4%)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. 전공뿐 아니라 실제 업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경험이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 잡았다는 분석이 나온다.
기업의 85.4%는 인턴 등 일·경험이 입사 후 조직 적응과 직무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. 일·경험을 평가할 때는 ‘채용 직무와의 관련성’(84.0%)을 가장 중요하게 봤다. 뒤이어 ‘경험을 통해 낸 성과’(43.9%), ‘경험이 있었는지’(39.5%) 순이었다.
청년 재직자 309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다. 취업에 도움이 된 요소로 전공(30.2%)을 가장 많이 꼽았고 자격증(18.4%), 인턴 경험(18.2%)이 뒤를 이었다. 기업과 청년 모두 ‘전공 적합성’과 ‘실무 경험’을 취업 성공의 핵심 조건으로 본 셈이다.